<Himawari IR RGB> 기상학/잡다한 기상 이야기4 WBGT(폭염 시 온열질환 위험 척도)와 체감온도 WBGT란?WBGT(Wet Bulb Globe temperature, 습구흑구온도)는 더운 환경에서 개개인이 노출되는 온열 스트레스 척도를 나타나는 지수이다. 1950년대 미국 군대에서 훈련 기간 중 온열 질환을 관리 감독하기 위한 도구로서 처음 제안되었고 야외 활동이 많음을 고려하여 온도뿐만이 아니라 습도, 바람 일사량이 포함되었다. 현재 WBGT는 단순히 군대에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으며, 국제표준화기구인 ISO에도 명시되어 있다. 온열 환경에서의 인간 활동에 대한 규정을 다루는 ISO 7243에서 온열 스트레스 지수는 WBGT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열지수, 불쾌지수는 WBGT와 비슷하나 이러한 지수들은 온도, 습도만 고려하여 산출된다. 그러나 WB.. 2024. 11. 16. PDO(태평양 수십년 변동)과 엘니뇨의 관계 PDOPDO(Pacific Decadal Oscillation, 태평양 수십 년 변동)은 태평양을 중심으로 해수면 온도(SST)가 수십년 주기로 음, 양의 편차가 번갈아 나타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 PDO가 음일 때 북서태평양의 SST는 양의 편차를 동태평양은 음의 SST 편차를 보이고 있으며 PDO가 양일 때는 반대의 양상을 띠게 됩니다.When El Niño events peak during boreal winter, the Aleutian low deepens and the changes in the surface heat fluxes, wind-driven mixing, and Ekman transport in the upper ocean all act to create a pos.. 2024. 4. 22. 왜 위도는 같아도 기온이 다를까? ⚠️지면 효과를 조금 줄이고자 1991년~2020년 평균 900hPa 상층 기온으로 분석하였습니다!!https://climate.copernicus.eu/ 지구과학 수업을 듣다 보면 다들 한 번쯤은 위 그림과 같은 상황을 생각해 본 적 있을 겁니다.적도에 태양빛이 가장 쎄게 쬐고 극지역은 약하니까적도가 가장 기온이 높고 극이 가장 낮다는 생각이 자연스러울 겁니다! 하지만 실제 기온 분포 다들 아시다시피 그렇지 않죠!! 1991년~2020년 평균 900hPa 상층 기온 지도를 보면서 한번 다 같이 탐구해 봅시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남극과 북극의 기온 차이입니다.둘 다 같은 극지역이지만 남극이 훨씬 더 추운데요.남극은 대륙 위에 얼음이 놓인 상태라 잘 녹지 않고 버티는데.. 2024. 4. 21. 기상청 API로 서울, 제주 역대 기온 그래프 그리기 회색선은 역대 기온 그래프들 모음이고 검은선은 1991년부터 2020년 평균 빨간선은 연평균 기온이 가장 높은 연도의 기온 그래프이며 노란선은 올해 그래프입니다! 2024년 기온 페이스가 심상치 않네요 올해 또 어떤 기록을 써나갈지 허허;; 궁금한 지점이나 다른 변수들이 있다면 댓글로 달아주시면 됩니다! 출처: https://apihub.kma.go.kr/ 기상청 API허브 apihub.kma.go.kr 2024. 4. 17. 이전 1 다음